김동리와 황순원은 비슷한 연배로 비슷한 시기에 활동함 20c후반 한국 소설계의 거목이다.
삶을 사는 방식은 대조적이다. 김동리선생은 개성고등학교 황순원은 와사대대학 영문학과 졸업. 김동리는 문단정치에 관여를 많이했다. 파벌의 중심권에 있었다. 황순원은 문단정치에 초연한 순수한 소설가다. 공통점은 시,소설,단편에서 장편으로 문학세계를 확장해갔다. 문학인으로서 삶의 자세는 대조적이었다. 김동리선생은 권력과도 손을 잡음. 황순원은 글로만 외골수적이다. 두분다 교수직을 겸함. 황순원선생은 월남했다. 16세에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함. 동아일보 신춘문예 가작을 함. 육이오를 배경을 한 소설이 많다. 학(옛날 우정을 생각해서 친구를 풀어줌. 주제는 민족주의가 이데올로기보다 강하다.), 너와나만의 시간(패전병다룸). 제일처음 장편 별과 같이 살다. 호평보다 혹평이 더 많다. 소설적 구성이나 내용상으로는 단편적요손데 길이만 긴 장편이다라는 비난을 받음.
카인의 후예 등 장편작가로서의 면모를 과시함. 카인의 후예 박훈. 오작룡?여자가 결혼을 햇음에도 박훈을 좋아하는 지순한 여자로 나옴. 인간접목. 고아원의 암흑상을 파헤침. 나묻ㄹ 비탈에 서다. 6.25 젊은이들의 고뇌.일월은 가문이 몰락하는 가족사 이야기 같지만 현대인의 고독. 가족간의 단절. 사회와의 단절. 단절을 소재로하고있다. 현대인의 숙명적 고뇌. 외래전래적 사상의 융합을 추구 신들의 주사위. 황순원 장르 주제적 다양함. 꾸준히 작품을 발표함. 가장대표적 진면목은 일월이다
일월 줄거리.
인철과 가족 중심. 인철,인주. 나미(인철의 지인, 은행가딸), 기룡(사촌), 형은 인호(철저힘숨기고자함.).인문(고딩) / 기룡이가 인철이에게 칼을 줌. / 인주에게 대본(백정)이옴./ 신명수(인주남친) 인주가 남준걸과 불륜. 범인은 신명수다. / 마직막 다혜의 고백에 인철이가 다혜의 볼에 친구의 표시로 뽀뽀함.
전체
아버지 융자 독촉받음으로 자살. 형.은 국회의원 걸림돌, 인주 인철 걸림돌, 상진영감(아빠) 외도 가정이 그늘이 짐. 가족관의 단절감. 부부사이 불화. 어찌보면 현대인이 지니고 있는 고독감이다. 엄마와 아들사이 동물(뱀) 키우는 문제. 형제간 남내간 갈등적-대화가 거의 없음. 고독의 벽 속에 갇힌 모습이다. 실존적상황을 주제로 담고 있다. 사랑의 삼각관계 인철 대 다혜와 나미. 친구처럼 누이처럼 다혜. 은행딸 나미. 인철은 마음 속으로 늘 고민한다. 그러나 사실적으로 나미쪽으로 기움.
의리보다 실리를 택한다.는 현대남성이다. 장편소설의 주제는 불행에는 원인이있다라는 인과적문제. 다의적인 주제를 담고있다. 가장 두드러진 주제의식은 현대인 담고있는 고독이다. 풀리지 않는 숙명적인 고독, 가족, 연인으로도 달래지지 않음. 문체 서정적. 심리적으로 치열하게 노골적으로 나타남. 6.25 사건이 배경이 대다수. 한국인의 의지와 전혀 관계없이 외국에 의해서 치루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이 우리 민족을 비참함이다. 이런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지 않았다. 처절한 참상도 리얼하게 제시 되지 않았다. 우리의 비극의 원천에 대해서 인식해야하는 고발정신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황순원작가의 장점은 폭넓은 주제를 꾸준히 썼다.
'대학생과제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가론3 (0) | 2020.01.18 |
---|---|
작가론 정리2 (0) | 2020.01.17 |
작가론 정리1 (0) | 2020.01.15 |
한문학사 한시해석2 과제 (0) | 2020.01.14 |
주나라 인물 백이숙제 주나라무왕 주나라문왕 해석 (0) | 202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