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작가론은 문학연구

평론하고 깊은 관계가 있다. 작가론을 하려면 평론을 알아야된다.

어떤학자는 문학비평하고 논문하고 깊은 관계가있야한다

 

논문 예) 문법에 맞게 생명

비평 내용보다 표현을 중요시한다.

사실 연구문장하고 평문문장은 정반대이다. 그런데 현대는 같게보는게 많다. 그래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문학논문이 평론화되는게 추세이다.

-----포인트 :연구한내용은 독특, 내용은 연구내용은 객관적(=문법에 맞도록)

결국 문학연구의 추상화 된다.

 

작가론의 특징

작가의 생애를 다 기술하는게 아니고, 작품을 잘 이해하기위해서 작가의 생애를 안다.

   작가의 정신적 분신이지만 삶과 내용이 일치되는건 아니다. 일치안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일대일 대응 ㄴㄴ ---전기적오류다. 작가론 = 문학적 전기

   작품을 통해서 작가를 분석하는것이다. 예 발자크, 이효석(지극히 보수, 작품 불륜관계를씀)

   삶의 노선과 작품노선이 다르다. /김동리(장사형 인물 많다. 실제 체구 작다. 콤플렉스)

   방해가 될 수 있다. 일치되는경우 생택쥐페리

 

작가론 2개

1.동시대작가론

(같은시대 체험을 공유하는 시대, 작가와 만난다. 자룔을 얻을 수 있다.

작가한테 자신을 연구한다는 사실을 밝혀서는 않다. 왜냐하면 문학가들은 허영이 많다. 그래서 의도가 개입 될 수 있다.

직설적 질문x, 유도적 질문 o 예 장만형작가.

순희라는 인물이 작품에 많다. 실제로는다방여자였다. 산호장 시절을 회상하도록 해서 객관적으로 해서 판단해서.연구자라는 사실을 숨겨야한다.

 

2.후시대작가론

(김만중. 자료에만 의존해서 그 작가의 작품을 살피는것)

 

전기에 빠져가지고 그 성과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되어야 하는데 소홀히 할 수 있는 폐단이 있다.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단서를 찾는 거다.전기자체가 목적이 되서는 안된다. 생애를 순차적 기록은 의미가 없다.

특징을 찾아서 작품과 연결 할 수 있어야한다. 전기를 위한 전기가 아니고 작품 해석을 위한 전기가 되어야 한다.

 

작품을 분석할 때 작품과 작품사이에 반복되는 단골 이미지, 단골 화소가 있다.

유사한 이야기, 이미지가 반복된다. 그것을 찾아서 유사성을 찾아 작가의 생애를 찾아관련지어야한다.

예 시인 정지용 독특하게 언어나 이미지를 변형시킨다.

독특하게 자부심이 강하고 평범하지 않고 개성이 강한 시인이다.

생애를 살펴본다. 정지용은 4대독자다.

 

연못지 용용 용꿈을 꾸고태어났다.

넌 용이 된라는 의지를 이름 속에 넣었다. 즉 귀하게 자랐다.

그는 자만심이 강한 개성이 강한 시인으로 성작했다.

 

작가를 나눌 때 특징상

 

지속형인 작가

이기형 소설가 작품주제나 경향이 일관성

정환 소설과 지속적  장만형

         

지속형 작가들 연구방법 : 통시적으로 연구해야한다. 작품의 주제나 경향을 통시대적으로 보고 계열화 시켜서 연구한다.

 

변모형의 작과

변모현 김동리, 시인 김기린 아주 변모형이다.

변모 과정을 연구, 변모의 원인이 생애와 무슨 연과이 있는가가 작가론에서 아주 중요하다.

          서정주, 김춘수, 변모의 기준

          김춘수 자기가 의미를 들어날 때와 숨길때 가 변모의기준

          서정주 주제의 기준으로 보면 변모의 기준이 있다

          김기림  소재를 중심으로 변모의 기준

          박목월  자연을 소재로 도시 생활 삶으로 기준으로 변모한다.

무엇을 기준으로 변모가 중용 / 변모가 작가 더 많다.

변모론 적은 연구자의 경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기계론 적으로 이렇다라고 말하면 라고 말하면 안되다.

 

 

춘원의 호에대한 설명 

춘원의 호 외배 고주 보경 경서학인 장백산인 향산광망 산광명 창씨개명한 이름

호 많다 = 활동을 많이 했다.

폭넓은 활동으로 인해 호가 많다. 호가 많다. = 작품이 많다. 다산 정약용

 

현대 춘원 욕당 요한 호가 많으니, 작품이 많으니 평가도 복잡하다.

왜그렇게 찬반이 엇갈리는가

 

춘원은 한국근대소설의 개척자다. 천태산인 한국최초의 현대소설의 개척자다

 

부정적인 평가 친일 행위를 함, 역사의식이나 민족의식이 결핍된 사람이다.

부정적인 평가 정리되어있다.

 

철학이 없는 계몽주의자 /역사의식이 없는 민족주의자 / 한국의 실학 사상에 대한 무지

 

 소설기법상 결점( 영미에 반해서)

과잉노출, 논설적, 우연성(흥미위주다.)-필연성이 없다.

 

무정을 살펴보자.

무정이 현대소설으로서 무게를 가진 작품인가?(최초래이게 최초 현대소설이래)

남녀 애정관한 내용 삼각관걔의 애정소설

춘원은 낭만주의자 그 당시 학생들의 꿈을 담은 인물이 이형식

당시 젊은이들의 꿈 일본유학을 가서 성공해서 돌아오는 것

 

이형식(영어교사) 박영채(기생) 김선형(부잣집딸,신여성)

박진사(헌신적교육자) 김장로(평야감사 아들 전직 외교관)

 

이형식은 박진사의 딸, 김선형을 택함

 

신우선(형식의 친구, 적극적 진취 이형식과 반대 이형신 소극)

김병옥(신여성 독신주의자)

 

무정의 시간적구성 (총126회 신문에 연재된 장편 소설)

오른쪽 숫자는 횟수를 말함

이 소설은 전대 소설을 비해서 뚜렷한 시간구성으로 이루어짐

예 1. 17 첫날은 17회에 거쳐 나옴

 

1. 첫날 오전과 오후로 전개 됨. 아주 기분이 좋음. 

    첫날은 대개 영채의 회고담으로 구성됨

    영채 교육사업하다 살인사건에 연루 되어 감옥 갇힘

    영채는 몸을 팔아 아버지를 구하려 하지만 아버지는 자결함

 

2. 학생들이 strike를 이르킴. 사실 선형이는 학생들의 파업에는

관심이 없고, 어제밤에 영채를 생각함. 그리고나서 영채를 만나려

간다. 영채가 평양에 있다는 사실을 듣고 평양에 감. 평양가서

(자신의 교장에게 성폭행을 당하는 모습을 목격함)

 ->는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김을 소설로 표현했다는 평론가도 있음

 

영채가 유서를 씀. 정절을 지키려했으나 겁탈을 당함으로 살가치가 없다고

자결을 결심하고 평양(아버지 무덤)으로 떠남.

신우선은 영채를 찾가 간다. 유서만 발견

유선은 평양으로감 박진사의 묘소를 찾아간다.

 

다음날 돌아감 학교로 돌아감. 많은 일이 벌어짐.

학교에 기생을 찾아 떠남을 알고 풍문이 떠돔.

그일로 학교를 사퇴하게됨. buy은 선형과 약혹을 하게됨

 

복합적인 문제로 혼란을 격음

 

독자들이 궁금해함. 영채가 죽었나 살았나.?

작가는 영채에 대한 얘기는 없고 다른 얘기만 한다.

평론가 : 김동인이 공격한다. 다뽀로다. 다뽀로 : 중요한것을 나두고

딴소리한다. )

 

이 소설은 1,2,3,4,5째날. 뚜렷한 시간구성이 명확이 드러나고, 전개되고

그후 10개월간 내용이 나옴

거기서 병옥이라는 신여성을 만나고 영채는 생각을 바꾼다.

영채 봉건적인 여성. 신여성 병옥을 만나고 신사상을 받아드리게 된다.

병옥이를 따라가서 같이 생활한다.

병옥이는 독신주의자이고 신여성이다.

한달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이형식과 선형과 약혹하고 일본으로 가는 기차를 타는데

우연한 만남이 이루어진다.-> 흥미위주가 아니냐. 결점지적

 

기차가는 중에 홍수가 남. 거기서 홍수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화엥서 이형식이 연설을 하고 계몽주의적 사상 피력.

 

말미에서 4사람다 성공해서 돌아온다고 한다.

 

한달동안 집필함.

 

무정은 두가지 요소로 결합되어있다.

영채에 관한 부분 회고담. - 신소설적인 부분

춘원 자신의 자소전적 느낌

 

자가 춘원과 이형식과 유사점이 상당이 많다.

작가,주인공 누이가 있고 어린시절에 부모를 여임

신분도 유사 일본유학 유학생 연형도 같고, 소설에 나오는

박진사라는 인사와 박찬명 대령집에서 비서노릇을함

박진사와 이형식, 박찬명과 춘원.의 관꼐가 비슷한다.

딸들의 유사점. 그러므로 자서전적 요소가 많다.

 

소설사적으로 어떤 영햐잉 있는가

문장 호흡이 길고, 이걸로 인물들의 심리묘사를 잘 했다.

문장상의 장점

주제상에서 당시의 시대정신과 사회의식을 잘 반영햇따.

자유연애, 사회상. 실리를 택한 이형직

 

문체상에서 일상어 문체 확립함. 시제의 분화 하도다. 하는다.

과거 현재가 불명확한 문체에서 벗어나.

과거 현재 구별가능한 구어체를 사용.

대명사를 씀. 대명사 사용은 문제가 되는데 여자와 복수 구분없이

그를 썼다. 춘원은 그냥 단수,복수,남,녀 구분 x

시간 구성

독특한점 보조 인물의 배치로 인물을 입체화 시킴

이형직 우유부단 소극적인데

신우선이라는 적극적인 인물을 배치함으로서

영채라는 인물 유교적 질서에 사고방식 구시대적 사고방식

병옥이란느 인물 배치 신사사을 받아들이게 하고

인물을 입체화 시키기위해서 입체화 시켰다는점

 

심리묘사가 두드러졌다.

사건의 스케일이 커졌다.

 

장편소설로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단점설명

주인공의 성격 창조와 주인공의 실패

예 이형식 학생들의 존경을 받는 스승. 기생을 찾아다님.

교사들사이에 호모섹서로 소문 이윤배반적이라는 인물 설정

교사면 공직성. 인물모순 실리추구

영채 기생으로서 정조관념을 추구했다는점

이런건 모순적 인물을 창조햇다는점에서 주인공의 성격 창조를

실패했다.

 

필연성이 결여된 통속적인 사건이 있다.

예 개의 비현실적 출연.

영채가 남의 집살이를 한다. 집주인, 괴한을 만남.

괴한을 개가 물리친다. 겁탈당할 직전에 개가 물리침

두가지점

신문소설 애로틱함 겁탈당할뻔 신문소설이 요구하는 특징

            + 개가 등장함 비현실적인 개의 출현

필연성이 결여된 통속적인 사건으로 봄

 

박진사가 제자의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가서 자결한점

죽을 이유가 없다.

 

이형식이 변덕적인 인물이다. 실제로 기생을 쫓아 다니고

홈어로 소문나 있고 이것은 배반적인 인물로 보인다.

 

영채가 평양사에서 겁탈당하는 장면을 목격한것

신문 연재소설이기 때문이다.

 

이것들은 신문소설 상당히 애로틱한것을 요구

 

거의다 신문 소설이다. 순수소설이 아니다.

여건이 없다.

 

무정만이 아니라 무영탑, 등등... 많은요소들이 이같은 요소가 있다.

 

통속적이것 기차 속에서 만나는 것

->흥미위주다. 필연성이 결여된다.

 

그러나 현대소설사에서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작가의 전기적인 특징이 작품에 드러나있는거 를 밝히는게 중요

 

고아라는것 10살때 부모를 다잃음 외배 망망대해에 떠있는 배와 같다.

호 에도 반영했다. 유교사상 부정 반유교적 입장에서 문학활동을 했다.

자녀 교육론이나 논설에 보면 효도사상 보다는 자녀를 더 소중히 해야한다.

정조개념에 대한 부정

 

재주있어서 엘리적 의식이 강했다. 나르시즘에 빠져서 자신의 행위를 미화시켰다.

친일 행위도 미화함

 

약소민족체험: 동학에 가담해서 비서노릇을함. 망국의 서로움을 시에 많이 반영시킴

자주독립을 각성하는 글을 많이 씀 젊었을때. 약소믽고체험을 젋었을때 자주의식강화라는 것으로 글을 씀

 

작가체험 :고대소설을 많이 읽었고, 한시문에 밝음, 일본어를 통해 톨스토이를 경도함. 좋아함.

 

4개 / 그런요소들이 작품에 잘 반영되어있다.

 

왜 춘원을 현대 소설의 개척자라고 하나. 무정부터 현대소설의 출발으로 보는 이유

김태준의 소설사에서도 현대소설의 첫작품을 무정을

백철이 쓴 국문학전사에서도 무정

조향연 현대소설사 무정을

현대소설으로 뽑는다.

 

많은 비평가 평론가가 무정으로 뽑는다.

현대소설의 출발의 기점으로 잡는다.

 

많은 결점이 있었다. 주인공 성격이 이율배반적이다. 성격창조실패

작가의식 과잉 노출 우연성, 통속성 많다.

 

무정 작품톤이 안 맞는다. 박영채 이형식이다. 중요인물은.

박영채의 회고담이 길다. 이는 신소설적 요소다.

후반부는 춘원의 자소전적 요소다.

소설적 결함이다.

 

그것은 작품내적의 필연성이라기 보다는 상황성이다.

무정은 문화적 사건이다. 신문에 소설이 연재되는 것은.

무정에대한 독자들의 인기가 선풍적이였다.

 

신문연재소설상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압도적인 영향.

문화적인 사건이 소설적 영향이 문학사적인 평가로 이월되는 현상이 나타남.

결국 중요시하게 되었다.

문화적 상황에 의해서

이소설이 문화적 상황에서 중요한 작품이되었다.

 

작품내적 보다 작품외적인 사건에 의해서 높이 평가 받았다.

신문사적 소설이라는 점에서 소설의 결점이 많이 보임

외국 문학연구자들에 의해 비판을 많이 받았다.

외국 문학의 수준과 무정의 수준을 비교하면 부족한부분이 많다.

신소설에 비하면 많은 장점있다.

심리묘사 유연한 문장을 통한 작가의 내적 세계를 언어로 표출해가지고 신소설과는

다른 면모의 소설을 보여졌다.

 

통속성이라든지 극복한 작품은 무명

무명은 리얼리틱함. 시의 시대 정신을 작품에 반영함.

유정이라는 작품.

유정은 독자들에게 인기가 있고 영화도 3번이나 찍음

유정은 무정에 비해서 훨씬 독자들이 좋아할만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자기 체험적인 요소가 작품에 많이 반영되어 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