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빌리엘리어트와 메트본의 백조의 호수 리뷰

 

발레는 예술무용의 한 장르로서 발레리노와 발레리나가 음악에 맞추어 무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이야기나 주제를 몸짓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발레의 정의는 이렇지만 실상 우리는 글 속에서 발레를 보았지 실상에서 발레를 접하기는 힘들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 큰 이유는 발레를 접할 기회가 쉽지 않고, 익숙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발레를 소재로한 영화나 연극, 대중가요에 발레음악을 삽입하는 일들이 종종 있다. 영화로서는 빌리 엘리어트, 블랙스완 등이 있다. 연극은 비보이를 사랑하는 발레리나 등이 있고 대중가요에서는 신화의 top라는 음악 처음 전주와 도입부의 랩 파트에 백조의 호수를 샘플링했다. 위 같이 발레는 소수층의 향유물에서 대중에게로의 확산이 되고있다. 발레의 대중화에 의한 작품의 연출과 변이의 방법을 ‘빌리 엘리어트‘라는 영화와 ’백조의 호수‘라는 영화를 비교 함으로 어떤 방식으로 표현했냐를 알아보겠다.

 

빌리 엘리어트
빌리 엘리어트

 

‘빌리 엘리어트 소개

‘빌리 엘리어트’라는 영화는 2000년에 개봉한 작품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연극 연출가 출신인 스티븐 달리드가 연출을 맡았다. 스틴 달리드는 리할의 각본에 감동을 받고 연출하기로 결정했다. 감독은 “한 소년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신을 표출해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기에 충분하고, 그 모습을 통하여 관객들은 자신이 어린시절 겪었던 유사한 모습들을 발견 할 수 있어서라고 했다.”

 

시나리오는 리할이 맡았다. 그는 자기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썼다. 그의 주된 관점은 “보다 나은 것을 바라고, 그것을 얻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는 과정을 그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와 같은 “바람은 모든 사람이 드러내지는 않지만 속으로는 야망을 가지고 있어 자기성취를 위하여 주인공 빌 리가 시도하였던 그 모든 것에 대하여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경험인 광부들의 시위가 실패하는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조직내의 다양한 긴장구조를 바라보며 그 부정적인 측면을 써보고 싶어 했다.”고 했다.

 

작품의 시대상황으로는 1980년대 영국 광부들의 파업시위 상황이다. 등장인물은 빌리, 빌리의 아버지,형,할머니 발레선생님 빌리 친구 등이 있다. 주인공 빌리는 가난한 탄광촌에서 엄마 없이 사는 아이이다. 빌리의 아버지와 형은 파업시위에 열성이고, 빌리에게 남자다움의 상징인 권투를 하기를 원한다. 빌리의 할머니는 치매를 앓고 있으며, 젊었을 때는 발레를 하셨다. 이런 환경에서 빌리는 생활한다. 어느날 권투연습을 하던 빌리는 체육관 한 귀퉁이에서 발레수업을 하는 광경을 보고 발레에 매료된다. 이때 발레 선생님이 빌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빌리에게 발레를 권유한다. 빌리는 이미 발레에 매료되어 배운다. 하지만 아버지와, 형이 이 사실을 알고 극구 말리나 성탄절날 빌리의 춤 솜씨를 보고 적극 지원하게 된다. 빌리는 런던의 로얄발레스쿨 오디션에 합격하고, 마지막 장면에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으로 무대에 서 점프를 하는 장면으로 이 영화는 마무리 된다.

 

영화의 구성이 꼼꼼하게 잘 짜여져 있다. 요즘 대개 상업성 영화가 짙어 시나리오가 탄탄하지 못한 영화가 많다. 하지만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라서 인지 시나리오가 탄탄하다. 할아버지의 권투 글러브로서 빌 리가 권투를 해야하는 이유, 가정형편을 짐작 할 수 있다. 그리고 할머니가 젊었을 때 발레를 했다는 점에서 당시 여자가 발레를 한다는 인식과, 빌리가 발레에 재능이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점에서도 상업영화와는 다르게 시나리오가 탄탄하다. 인상 깊었던 장면은 영화에서 갈등의 최고조인 발레선생님과 빌리의 아버지, 형과의 마찰에서 빌 리가 자신의 심정을 춤으로 표현한 장면이 인상깊었는데 대사가 없이도 빌리의 춤에 대한 열정과, 의지를 잘 나타낸 것 같아서 연출가 출신의 감독의 특색이 보인 부분이라서 더욱 좋았다. 또 마지막 장면에서 빌리가 점프를 하는 씬으로 마무리 지었는데 이 또한 매력적이였다. 영화가 가지지 못하는 책에서만 가질 수 있는 상상이라는 점을 점프 씬으로 표현 한 점에서 다음의 이야기를 관객에게 맡기는 역할을 해서 좋았다.

빌리 엘리어트라는 영화는 80‘s 영국의 광부들의 파업을 배경으로 빌리라는 아이의 성장을 그린 영화로서 발레를 소재로한 성장 영화이다. 영화가 종합예술인 점을 감안하여 여러 소 주제를 포함해서 영화가 만들어 졌다.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라는 영화는 2012년에 개봉한 작품으로 2011년 런던 새들러스 웰스 극장공연실황으로, 연극영화로서 드라마 뮤지컬로 일컬어진다. 이 작품은 매튜본이 연출을 맡았다. 그는 고전 발레의 백조의 호수 원작을 자신의 삶에서 사랑을 가질 수 한 남자의 보편적인 욕망과 자아에 대한 이야기로 완전히 바꾸었다. 매튜 본은 자신이 만든 이 독창적인 버전에서 백조들을 ‘힘과 아름다움, 그리고 자유’를 상징하는 존재로서 표현했다. 그는 어떻게 희고 아름다운 백조로부터 공격적이고 파워풀한 모습을 끌어냈느냐는 질문에 대해 “어느 날 백조에 관한 다큐멘터리 필름을 보았는데, 새끼 백조를 지키기 위해 작은 낚시배를 공격하는 장면을 봤고, 통상 백조하면 떠올렸던 우아하고 아름다운 면이 아닌 사납고 강한 이미지를 발견했다. 그리고 백조라는 창조물이 지닌 힘과 아름다움 그리고 거대한 날개는 하얀 튀튀를 입은 발레리나보다는 오히려 남성 무용수의 강한 근육을 연상시켰다”고 말한 바 있다.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는 고전의 백조의 호수와 비슷한 듯하면서 다른 감칠 맛 나는 작품이다. 고전의 백조의 호수는 러시아의 전설을 재구성한 것으로 차이코프스키가 만든 것이다. 4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줄거리는 지그프리드 왕자의 신붓감을 택하는 무도회에서 백조사냥에 만난 악마의 마법에 걸린 오데트를 선택하려한다. 하지만 오딜로를 오데트로 착각한 왕자는 오딜로에게 청혼을 한다. 이 사실을 안 오데트는 자살하려하나 결국 왕자와 오데트가 몸을 던짐으로서 악마의 마법에 풀린다.는 내용이나,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는 4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같으나 인과적 서술로 내용을 풂으로 원작의 시간상의 순서를 바꾸었다. 그래서 왕자는 불안함과, 왕실의 부적응으로 자살을 하려하는데 이 때 백조들이 나타나서 왕자를 보호해준다. 무도회날 왕자는 백조를 닮은 낯선 남자를 보고 매료된다. 그러다 정신을 잃고 쓰러지고 왕자의 방에서 깨어난다. 여왕을 비롯한 수명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그를 치료한다. 홀로남겨진 왕자에게 백조들이 날아와 그를 데리고 감으로서 왕자는 마침내 그가 갈망하던 평화를 되찾는다.

 

매튜본의 ‘백조의 호수’에서 낯선 남자와 백조들이 원작과 비교해 주목받는 부분이다. 고전의 백조의 호수는 백조의 여성스로운 모습을 발레리나들이 귀엽고 앙증맙게 표현했지만, 매튜본이 본 이 백조들은 강인하고 남성다움으로서 발레리노가 공격적이고 파워풀한 모습을 표현했다.는점과, 동화 같던 원작의 배경과, 왕실의 모습을 의례와 형식을 중시하는 모습을 풍자하고, 왕자가 남자 백조들을 사랑하는 모습으로 마치 동성애를 보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인상 깊었던 장면으로는 2막에서 호숫가에서 우연히 만난 백조의 아름다운 모습에 넋을 빼앗긴 왕자의 모습이다. 남자 백조들은 강인한 모습과 근육으로 마치 군무를 추는 듯한 모습이 내가 생각했던 아름답고 가녀린 백조의 모습과 대비되어 인상에 남는다.

 

매트본의 백조의 호수라는 영화는 차이프코프스키의 내용을 인과적 해석과, 연출자의 자의적 해석을 통해 획기적으로 표현되어진 작품이다.

 

위 두 작품은 영화로서 발레가 소재가 되어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 영화들에선 차이프코프스키의 백조의 호수가 나온다. 그리고 두 작품 다 어떠한 실존하는 대상을 근거로 하여 재구성 하였다. 빌리 엘리어트는 실존 인물 로열발레단의 댄서 필립 말스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고 백조의 호수 역시도 고전 백조의 호수를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두 작품은 실존 대상을 근거로 하되 연출가의 자의적 해석이라는 점을 추가시켰다는 점에서 공통되었다고 할 수 있다. 빌리 엘리어트는 연출가의 자신의 생각을 영화를 통해 표출, 매트본의 백조의 호수도 원작의 백조에 반해 자신이 느끼는 백조를 영화를 통해 표출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빌리 엘리어트는 자신의 생각을 주제화 시켜 표출 했다는 점과 다르게 매트본의 백조의 호수는 한가지 표현에 불가하여 하나의 메시지를 굳히기 보단 관객에게 여러 생각을 줄 수 있는 여지를 남겨 줬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영화적 장르로서 차이가 보이는데 전작은 발레가 소재가 되어, 다른 소주제들과 더불어 대사와 연기로서 주제를 표현한 반면 후작은 발레가 소재가 되고, 감정 표현과 의미전달의 수단이 됨으로서의 차이를 보인다.

 

이와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이 두작품은 발레를 소재로 한 영화로서 연출가의 연출의 차이로서 주된 내용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위 같은 방법은 발레라는 소재의 향유대상을 대중으로 늘려주는 방법의 차이로서 발레의 대중화에 이바지한다.

 

https://tlswnrhd.tistory.com/21

 

오리엔탈리즘무엇인가? 나비부인 리뷰

바야흐로 22c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구가 촌이라고 불리는 시기가 왔다. 지구촌에는 세갈래의 인종들이 각자의 사는 위치를 기준으로 나뉘어서 살고 있다. 위치에 따라 아시아 대륙 황인, 유럽과

tlswnrhd.tistory.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