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따라지 목숨 = 소낙비 됨. 따리지 인생이 많다. 따라지 열전이다라고 정의한 사람도 있다. 떠돌이 농민이다. 주인공 부부는 빚때문에 야반도주를 했다. 매춘을 다루고있는 것을 일제에게 주권을 빼앗기고 지식인의 허탈감을 매춘으로 돌려서 표현했다. 조선일보에 당선됨
봄봄. 실화를 소설로 만듬 노동만 착취당하는 것을 알고 있음. 계속 당함. 열등한 인물이다.
유사점에 있다.
두개
만무방 : 망나니 제 멋대로 행동하는 사람.
형 응칠이 / 동생 응오 형이 떠돌이 농민 생활을 함. 형은 나쁜사람으로 묘사되어있음. 동생은 형과는 다르게 성실한 모범적인 농민으로 묘사되어있음. 동생의 논에 벼가 없어진다. 형이 도둑으로 오해를 받음.
그래서 형이 동생 벼를 훔치는 범인을 잡음. 범인은 동생이다. 오히려 착실한 동생이 도둑질을 함. 도둑질을 해도. 자기가 수확한 벼를 훔쳐감. 아이러니다. 형이 할거 같았는데 동생이 도둑질함. 자기논의 벼를 훔침. 이는 소작으로 농사를 지어도 소작료를 내도. 빚을 갚고나면 자기 몫이 없음.
동생 응오는 착한데 도둑질을 한다는 것은 어떤의미냐? 응오가 비양심적이거나 나빠서 그런게 아니라, 사회구조가 그럴 수 밖에 묘사하였음. 성실하게해도 잘 살 수 없다.는 비참한 농촌의 현실을 보여줌. 사회 경제적 부조리를 작품화함. 사회문제를 다루고 있는거 같지 않지만, 문제의 본질을 돌려서 소설화 시킴. 소설적 재미를 위해서 계급적인 문제를 표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돌려서 아주 소설적으로 제시한 작가이다. 재밌게 재치있게 표현함. 문장도 의성어 의태어로 실감나게 구사함. 사회현실을 대립적 양상으로 제시하기 보단. 유머러스하게 제시, 해학적, 재미있게 독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함
나도향 요절한 천재 작가다.
한국나이 26세에 요절함. 좋은 집안에서 태어남. 한의사 집안에서 태어남. 학벌도 상당히 좋다. 배제고고, 경성의전 입학. 일본유학. 1년후 귀향. 교사함. 일본여교사와 연애함. 소설로 씀. 그 소설은 1927년에 발표. 데뷔작은 백조 참관호에 젊은이의 시절로 데뷔함. 동아일보에 환희라는 장편소설을 써서 널리 알려지게됨. 낭만적 작품. 22년. 하지만 23년부터는 초기의 경향과 판이하게 사실적인 경향을 다룸. 현실의 어두운면. 남녀의 사랑을 다루면서도 그 사랑을 단순한 연애사건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거기다 계급 의식을 반영, 예를 들어 소작인과 지주와의 갈등관계를 사랑의 문제와 결합시켜서 결말도. 죽음이라든지 자살로 비극적 결말을 제시하면서 비극적인, 사실주의적 소설을 쓴다. 5년이라는 작품활동 장편 2개 단편 여러개 낭만적경향과 사실적 경향이 뚜렷한 변모를 보이는 대립적 경향을 다 수용한. 독특한 면을 지니고 있다. 작가로서의 활동기간은 짧지만 뚜렷한 변모를 보이면서 남한의 (기교적, 낭만적) 북방 (사실적) 남북한 문학의 특징을 대비적 관점도 된다.
벙어리 삼룡이.
작품이 발표된 때나 발표된 이후나 노틀담의 곱추이야기가 반영이 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있다. 스토리 구성은 비슷하지만 작품의 구성은 없다. 사랑의 삼각관계를 다룬소설 주인아들과 그집의 머슴(삼룡), 새색시 3명이 핵심적 구조이다. 단순한 삼각관계가 아니라 지주계급과 하층민의 (머슴)의 대립적 양상의 이야기도 있다. 삼룡이는 외모는 별로지만 성품은 성실하고 부지런하다. 주인아들은 괴팍하고 잔인하다. 색시는 2살위고 양반집 규수로 참하다. 신랑이 심리적으로 열등감을 신부에게서 느낀다. 그래서 신부를 구박한다. 이모습을 벙어리 삼룡이는 못마땅해한다. 아들을 방에 눕혀준다. (술취해서 길거리 누워잇는것)을 그 모습을 복 삼룡이에게 부싯쌈을 줌.
나중에 아들이 암. 신부랑 삼룡이를 구박함. 아씨가 아픔. 자살하려함. 삼룡이가 구해줌. 아들이봄. 삼륭이를 때림. 쫓가냄. 삼룡이는 집을 나감. 삼룡이가 집에 불을 지르는 장면이 나오는건 아님. 불을 지르는게 삼룡이로 유추됨. 불을 질러놓고 불길 속으로 들어가. 아들 먼저 구해냄. 그 뒤에 아씨를 구해내다 못 나옴. 지붕에 올라가 함께 죽음. 하지만 그의 얼굴에는 미소가 지어져있음. 색시를 두고 삼각관걔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사랑을 이루어지거나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없음. 주인 아들이 열등감으로 색시를 구박함. 연민, 동경. 순수한, 지순한 감정이 이 소설에 가장 중요한 감정임. 결말 부분에 삼룡이는 죽어가지만 만족스러워하는 삼룡이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신분을 초월한 사랑의 감정. 지주의 아들과 머슴의 대립적 관걔. 성품이 악함. 선량한 머슴.(휴머니즘이 넘침)
비슷한 작품으로 물레방아라는 작품이 있다.
요 작품도 지주(신치규)와 행랑살이를 하는 (얹혀사는)이방원과 이방원의 아내. 삼각관계를 다루고 있지만. 방원이라는 소작인과 지주라는 신치규이와 대립구도로 되어 있다. 계급적 갈등을 주제로 반영했다. 방원 아내를 꼬심. 방원이를 내쫓음. 아내에게 마님께 말하라고 함. 앙탈부림. 아내를 때림. 후회함. 아내한테감. 없음. 물레방아 쪽으로 갔다고함. 물레방아로 감. 신치규와 아내가 같이 나옴. 방원이 신치규를 때림. 감옥감. 죽일각오를 함. 출소후 다시 집감. 아내보자 마음이 약해짐. 재결합하자고함. 아내가 거절함. 방아간에감. 다시 제안함. 다시 거절함. 아내를 죽임. 자신도 자살함.
두 젊은 부부가 가난을 탈출해 보기위해서 늙은 지주와 눈이 맞아 방원을 내쫓고 여기에 분개해 아내를 살해하는 이야기. 지주와 소작과의 갈등관계를 묘사함. 나도향의 소설의 장점음 끔찍한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함. 리얼리즘의 성과. 극단적 대결 살인이나 죽음을 처리하는 결말 부분. 이 소설은 계급 의식을 주제로 반영함. 북한에서도 평가를 받음. 김유정과 나도향은 공통점 20대 요절한 작가다. 나이도 데뷔연도는 나도향이 빠름. 김유정이 남한 소설사에서 더 높이 평가 받고 독자의 정서에는 더 적합할 거 같아서 먼저 소개함. 그들은 짧은 기간에 활동 했지만.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작가다
나도향이 김유정보다 선배다. 요절한 작가다. 둘다. 김유정이 상대적으로 인기가 남한에서 높다.
20c한국문단 김동리와 황순원
김동리 2년 연장. 30년대 데뷔함. 특징 시, 소설, 평론 활동함. 다방면으로 재능 보여줌. 본명. 시종. 김범부의 동생. 신춘문예에 당선. 문장이 논리적임. 평론도 씀. 소설가로서 폭 넓은 활동. 토속적인 샤머니즘이.강해서 비판 받음.
-관념의 미학. 무녀도, 등신불, 황토기, 화량의 후예 비과학적, 관념적, 신비적 세계, 시대의식 없다.
-현실의 미학. 귀한장정, 흥남철수, 밀다원시대, 까치소리
문장은 치밀함. 그 속에 담겨진 이야기 (=플롯)이 황당함. 이것이 치명적인 결점이다. 아주 현실을 잘 읽으면서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지 않는다.
예 무녀도. 무화와. 우기/ 엄마가 마귀를 뽑으려고 아들을 살해함.(아들은 기독교=우기, 엄만 무당)
무화=엄마도 자살함. 손님이 줄고, 교회는 흥하고 무당이 춤을 추다 물에 빠져 죽는다. 낭이라는 화자는 벙어리다. 그림을 잘 그림. 기독교 사상과 원시 종교의 대결에서 나타나는 비극. 과연 아들을 칼로 죽이겠는가에 대한 심리적인 묘사가 안되어있다. 그런 사건을 무당의 내면적 세계를 나타내있지 않다. 정확한 문장과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다.
황토기도 마찬가지다. 전설을 소설화 함. 여자를 놓고 두 거인 억쇠와 득보가 싸움. 지극히 묘사
정확하나 말이 않됨. 플롯이 부족함.
등신불. 바위도 마찬가지다. 사회적인 면을 소설에 잘 드러내지는 못함.
소설가 박태원 = 구보
좋은 집안에서 한의사의 둘째아들로 태어남.
10대의 고등학교 때 부터 작품활동함. 30년대에 소설을 써서 작품활동을 전개한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도시 소설풍의 소설을 씀. 1936년 시와소설의 박남장 주인이라는 소설
기법적으로 독특한 소설임. 38년 천변 풍경을 발표함. 플롯을 해체한 소설이다. 천변풍경은
쇠퇴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음. 성탄제 오맹 등 작품 남김. 월북함. 국립극장 전속작가로 조선창극집을 발간함. 남노당계로 몰려 숙청당함. 65년에 실명. 67년 전신 불수가됨 고혈압으로. 병상생활함.
60대후반부터. 70대 말까지 10년간 전신불수다. 소설을 쓴다. 그 소설이 갑오농민전쟁. 구술로씀.
실존인물도 나오고 창조한 인물도 나옴. 역사적사실은 실재적인 인물에서 나오고 시대정신이나.
이념은 자신이 창조한 인물로 반영함. 역사적사실 충실, +당대 시대적신을 (20c)후반 시대 정신을
반영했다. 남한에도 많이 읽힘. 홍명희의 임꺾정. 갑오 리얼리즘 소설로 권함.
악조건을 극복하면서 글을 썼다. 장인정신이 투철하다. 박태원 문장이 길다. 쉼표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천변풍경에 대해서. 자신이 살던 배경을 토대로 소설을 씀. 한약방. 사실성을 바탕을 둠.
소설이 50절로 되어있음. 절이 바뀔때 마다 등장인물, 배경이 바뀜. 전체를 통괄하는
플롯을 가진 소설은 아님. 빨래터 여인, 이발소 남자. 소개. 빨래터에서 온갖 소문이 돔. 이발소도 역시.
빨래터 여인들의 대화로 시작 하층민임. 이장은 이발소에서. 상류층임. 계급에 관해 관여치 않음.
3장.... 장이 바뀔 때마다 화소가 바뀐다. 계속다른 화소가 나온것이 아니고 계열화된다.
재보이가 ->창수는 이발소 심부름꾼(소년)관찰자 사회의 상류층과 하류층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지만, 삶의 리얼한 면을 보이지 않음 전무가 소설이 아님. 프로 아님. 세태소설이다.
16장 금순이 나옴. 비중이 큰여자다. 불행한여자다. 어린나이에 시집을 감. 연하의 남편이 전염병이
걸려서 죽음. 처녀 과부됨. 시아버지가 호색함. 시어머니가 구박함. 친정집은 파산함. 자살하려함.
지나가던 행인이 잡음. 행인은 인신매매꾼임. 겁탈 후 인육시장에 팔려고함. 꾀임에 빠짐.
여관가는 도중에 노름꾼들을 만남. 마침 경찰이와서 그들을 잡음. 금순이와 하나꼬를 만남.
점룡이가 남옴. 아이스크림 장사 행상이다. 이쁜이를 좋아함. 이쁜이는 강씨와 결혼함.
유치장을 나온 인신매매범은 금순이를 찾으러가나 없음. 금순이는 여급들과 생활함. 인신매매는 뺏으려하나 망신만 당함. 하나꼬가 최진국하고 결혼함. 화소가 자꾸 바뀜. 빨래터와 이발소가 주다.
하나꼬는 불행함. 하나꼬=영이 사랑이 식음, 이쁜이도 불행함. 남편이 강가가 정부가 두명임.
주제는 휴머니즘이다.(인정의 미학이다)
금순이가 위기때마다 구원됨. 주제의식은 하부구조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펼치는 삶과
관찰자를 통한 외형적으로 소년에 눈에 띄는 객관적묘사. 소년화자를 통해서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것을 피함. 그들의 참상을 처절하게 표현 ㄴㄴ . 온정적으로 묘사함. 플롯을 해체함.
통일되게 전체를 일관하는 플롯이 없다. 하층미의 인증 미학을 들어낸 소설이다.
https://tlswnrhd.tistory.com/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