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약

 작자 연대 미상의 한글 소설의 하나. 지은이와 지은 때는 자세하지 않으며 군담(軍談) 소설의 일반적인 유형을 따른 작품으로,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장익성이 떠돌아다니며 고생하다가 절에서 중을 만나 공부한 뒤 대원수(大元帥)가 되어 큰 공을 세우고 부귀공명을 누린다는 이야기이다.

 

 

●줄거리

 북송시대 금릉 땅에서 장영의 아들로 태어난 익성은 5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가세가 기울어져 어머니가 먹을 것을 구걸하여 그것으로 생계를 유지해 가면서 고생하며 성장한다. 그 무렵 조정에서는 표진영의 7형제가 모두 승상 직에 올라 권세가 하늘을 찌를 듯한데, 장차 역모하려고 변방의 왕들과 비밀스럽게 내통하고 거사의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

 

익성이 15세가 되도록 어머니와 유리 걸식하다가, 어떤 도승을 만나 열 두알 염주를 받는다. 익성은 다음에 찾아갈 것을 약속하고는, 왕 승상 댁 후원에 들어가 꽃나무 아래서 낮잠을 자게 된다. 이때 왕 승상의 딸 채운이 초당에서 글을 읽다가, 기이한 꿈을 꾸고 후원에 가보니 익성이 낮잠을 자고 있으므로, 그의 얼굴에 자기의 저고리를 덮어주고, 그가 가지고 있는 염주를 가지고 돌아온다.

 

익성이 잠에서 깨어 채운을 따라 들어가서 인사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 하늘이 정해준 연분임을 깨닫고 남몰래 운우지락을 이룬다. 익성은 후일을 기약하고 도승을 찾아 떠나고, 그의 어머니는 채운의 공경을 받으며 살아가게 된다.

이때 역적 표진영이 기어코 병사를 일으켜 황성을 공격하니, 황제가 위험에 빠지고 황후와 태자는 역적을 추종하는 간신배들에게 붙잡혀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산사에서 도승에게 수학하여 신기한 무술을 익힌 익성이 도승의 교시로 왕 승상댁을 거쳐 어머니를 만나 채운에게 편지를 전하고는, 황성으로 달려가 황후·태자를 구출하고 황제를 위기에서 구해낸다.

 

 

●이해 및 감상

 작자・창작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1책의 국문 필사본과 구활자본으로는 1922광문서시본(廣文書市本), 1953년 보문출판사본(寶文出版社本) 등이 전하고 있다. 신소설 형태로 개작된 <용매기연 龍媒奇緣>(1922)은 일명 <모란화 牡丹花>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영귀한 출생과 고생스러운 성장, 천정배필과의 결연, 산사 도승에 의한 수련, 역적들의 반란을 평정하여 황제와 국가에 충성하는 무용담이 주축을 이루는 전형적인 영웅소설이다.

 

이 작품의 진행과정에서 남녀 주인공이 서로 만나 천정연분임을 확인하는 자리에서 부모 몰래 직접 내통함이 현대적 자유연애를 연상하게 한다. 서술과정에서 삽입가사를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표현상의 효과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구성단계

발단 : 송나라 금릉 땅에 장익성이 태어남

전개 :

1) 장익성은 어머니와 유리걸식(遊離乞食)하다가 낙탁 노인을 만나 도움을 받음

2) 익성이 왕순돈의왕채운과 인연이 닿음

위기 : 채운과 신표를 주고받은 익성은 병법과 무술을 배우기 위해 길을 떠남

절정 :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간신을 제거하고 황후, 태자, 충신을 구함

결말 : 익성이 채운과 결혼하고 벼슬을 얻은 다음 부귀공명을 누림

 

 

●핵심정리

● 연대 및 작자 미상

● 배경 : 중국 송나라

● 갈래 : 한글, 군담, 영웅소설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주제 : 익성의 영웅적 성취담

 

https://tlswnrhd.tistory.com/12

 

고소설론 양반전 줄거리

고소설론 양반전 강원도 정선 고을에 가난 한 양반이 살고 있었다. 이 양반은 평생을 글만 읽어 온 왔기 때문에 쌀을 제 손으로 구하지 못했다. 그래서 관아에서 쌀을 빌려 먹었는데, 그 것이 천

tlswnrhd.tistory.com

 

728x90

'대학생과제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작가론 족보  (0) 2020.01.31
창작소설  (0) 2020.01.28
한국현대문학사 작자 77명  (0) 2020.01.26
속미인곡 한글 해석과제  (0) 2020.01.24
사미인곡 한글해석  (0) 2020.0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