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론
양반전
강원도 정선 고을에 가난
한 양반이 살고 있었다. 이 양반은 평생을 글만 읽어 온 왔기 때문에 쌀을 제 손으로 구하지 못했다. 그래서 관아에서 쌀을 빌려 먹었는데, 그 것이 천 석이 넘었다. 정선 고을에 시찰을 나온 관찰사가 이 사실을 알고 양반에게 당장 천 석을 갚으라고 했으나, 갚지 못한 양반을 감옥에 가두라는 명을 군수에게 내린다. 이 양반은 고을에서 성품이 어질기로 명성이 자자해 새로운 군수가 부임 시 그를 먼저 찾아보는 관례가 있던 터라, 명을 받은 군수는 이 상황을 안타까워한다.
이 지경에 양반은 밤낮으로 울기만 할 뿐 아무런 대책이 없었다. 그의 아내가 양반에게 평생 글만 읽으면서 양반의 도리만 중시하더니 양반이 한푼의 값어치도 못된다고 비난한다.
그 마을에 문벌 없는 한 부자가 살고 있었다. 부자는 양반을 아무리 가난해도 항상 존귀하고 영화스러운 것이라고 생각 하고 있었고 자신은 신분 때문에 아무리 돈이 많아도 비천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부자는 양반의 소식을 듣고 찾아가 양반의 천 석 빚을 갚아 주고 대신 양반 신분을 사기로 제안한다. 양반은 몹시 기뻐하며 제안을 승낙한다.
군수는 양반이 빚을 다 갚는다는 소리에 영문을 묻는다. 군수는 중재를 위해 양반 신분을 사고팔자면 증서가 있어야 한다며, 고을 백성들을 불러 모아 증인을 세우고 증서를 작성했다. 군수는 부자를 오른편 높직한 자리에 앉히고 양반은 뜰 밑에 세워 놓고 양반 증서를 읽었다. 그 증서에는 양반이 지켜야할 도리가 있었는데, 그것들이 너무 많아서 부자는 싫어한다. 그래서 군수에게 양반의 특권을 문서에 적어 달라고 한다.
군수는 추가로 양반의 특권을 증서에 적어준다. 그 내용은 어진 백성을 상대로 강도 행위를 하는 것과 같이 양반을 공짜를 좋아하고 아첨만 하는 게으름뱅이로 만들었다. 그래서 그 부자는 양반이 되는 것을 포기하고 죽을 때까지 양반이라는 말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양반
강원도 정선에 사는 가난한 양반으로 천 석이나 되는 관곡을 꾸어다 먹고는 갚지 못해 양반 신분을 판다. 글 읽기만 좋아할 뿐 무능하기 짝이 없지만 양반이라는 이유로 많은 혜택을 받는 조선 시대 양반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지 못하는 조선 후기 양반의 전형으로 가장 날카로운 풍자의 대상이다.
양반의 아내
허울뿐인 양반의 권위를 부정하는 현실적인 인물이다. 남편의 무능력을 원망하며 닦달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인식을 바탕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자
부를 쌓은 평민으로 조선 후기 새롭게 등장한 인간상을 보여 주고 있다. 평소 동경하던 양반이 되기 위해 천 석이나 되는 관곡을 양반 대신 갚고 양반 신분을 산다. 그러나 양반의 허례허식뿐인 생활 규범과 횡포에 양반의 한계를 느낀다. 가식이 없는 인물로 자기 분수에 맞는 삶을 살고자 천 석 재산을 포기하기까지 한다.
군수
지극히 위선적인 양반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양반의 천 석 빚을 대신 갚은 부자가 양반 신분을 취득하려는 것을, 양반 매매 증서를 써 주는 척하면서 은근히 방해하고 있다.
'대학생과제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비문학의 변천으로 보는 장자못 전설 (0) | 2020.01.07 |
---|---|
오장환작가의 생애와 시세계 (0) | 2020.01.06 |
고소설론 운영전 줄거리 (0) | 2019.12.29 |
신화형성비평 고은 「그 석굴 소년」 줄거리 및 해석 (0) | 2019.12.26 |
월인천강지곡 줄거리 및 해석 (0) | 2019.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