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인플레이션이랑 금리와의 관계까 주식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인플레이션이랑 금리와의 관계까 주식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인플레이션이 금리와의 관계가 주식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핵심

인플레이션이 일어 난다 -> 금리를 올린다 -> 유통되는 돈이 은행으로 간다

->시중에 돈이 없어 주식투자가 일어나지 않는다 -> 주식시장이 약세가 된다.

 

인플레이션의 개념

돈의가치가 줄어들어서 1000원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없어짐

예) 인플레이션 이전에는 1천원으로 바나나우유를 사먹을 수 있었음.

인플레이션 이후에는 물가(바나나우유)가격에 상승해 1500원이 됨. 그래서 1천원으로 

바나나우유를 못 사마시는 현상.

 

이익인사람

물건(=바나나우유)를 가지고 있는사람:

물건 가격이 올랐으니까 물건을 판매하는 사람이좋음,

예를들어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아파트가격이 갑자기 1억에서 3억이됨.

 

손해인사람

 

물건(=바나나우유)를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

예)근로자: 고정된 월급을 받는데, 물건 가격이 오르면 물건(=바나나우유)를 살 수가 없음

예금을 저축하는 사람: 은행에 돈이 많이 있는데 돈의 가치가 줄어들어서 물건(=바나나우유)를

살 수 있는 양이 적어짐

 

인플레이션의 영향

1.근로자들의 손해 = 사회의 빈부격차를 야기시킴(이익을 보는 사람, 손해를 보는 사람이 생겨서 그럼)

->부동산을 가진 사람은 부자가되고, 그렇지 못한 집없는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가난해짐

 

2.무역수지적자 = 쉽게 말하면 수출이 적게돼서 나라 경제가 약화됨.

  • 수출이 적게 되는 이유: 물건 가격이 올라감
  • 나라 경제가 약화되면 경제의 악순환이됨
  • 예) 바나나우유 공장사장인데 바나나우유 가격이 올라서 가격이 올라서 처음에는 좋다가 계속 이현상이
  • 유지되자 물건이 안팔림. 수출을 하는데 가격이 올라서 수출도 적게됨 -> 공장 망함 -> 직원들 일자리 없어짐

3.은행이 망함

돈의 가치가 떨어짐 -> 저축을 안함 -> 은행이 돈이 부족해서 대출을 해줄 수 있는 돈이 줄어듦 -> 대출을 받아서 사업을 하는 사람이 없어짐

 

인플레이션을 막는법

인플레이션의 종류에 따라 막는 방법이다름 

보통 물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1.돈의 유통량을 줄임 -> 금리인상 -> 돈이 은행으로 들어감 -> 주식시장 약세

2.상품의 공급량을 늘림 -> 물건생산확대


금리의 개념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리=이자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오른다        -> 저축하는 사람이 이익 -> 시중에 돈이 줄어듦 -> 경제약세

금리가 내려가면 이자가 줄어든다.-> 대출받은 사람이 이익 -> 시중에 돈이 늘어남 -> 경기 활성화

 

이렇게만 보면 금리가 내려가는게 좋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경기가 활성화되면 재화(=바나나우유)의 가격이 올라 감 -> 바나나 우유 가격이 오르면

수출이 줄어듦 -> 그러면 경기가 다시 약세가 됨

 

결론적으로 한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간을 유지해야 함

 

결론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오면 물건의 가격이 오른 상태(=금리가 줄어든 상태)

금리를 올리는 정책을 실시 할 것이고

금리를 올리면 자동적으로 주식시장에 들어갈 돈이 은행으로 들어감에 따라

주식시장은 약세가 됨

 

https://tlswnrhd.tistory.com/64

 

트론, 솔라나 코인으로 배우는 정배열, 역배열 매매법

코인이든 주식이든 미래의 가치만 믿고 투자를 하면 어떻게 될까? 물론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시장의 원리는 아주간단하다 싸게사서 비싸게 파는것이다. 언제 우리가 그 가격이 싼줄 알 수 있

tlswnrhd.tistory.com

 

728x90

+ Recent posts